설교 모음
7/17/2022 | 신약성경의 핵심 말씀 시리즈7
그의 말에 틀린 말이 없었다! There Was Nothing Wrong With His Words!
누가복음 15:25-32
신약성경에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비유’가 모두 몇 개나 될까요? 정확하지는 않지만 약 40개 정도됩니다. ‘비유’가 무엇인지, ‘비유’에 대한 사전적 정의는 이렇습니다. “a short story that teaches a moral or spiritual lesson, especially one of those told by Jesus as recorded in the Bible(윤리적인 혹은 영적인 교훈을 가르치기 위한 짧은 이야기로 특별히 성경에 기록된 예수의 말씀 중 하나를 비유라고 한다).” (Oxford Learner's Dictionaries)
‘비유’는 그리스어로 ‘παραβολή(파라볼레, parabolē)’라고 합니다. ‘para-’라는 말은 ‘옆에, 나란히(alongside)’라는 뜻이고요. ‘bolē’라는 말은 ‘던지다(to throw, to cast)’라는 뜻이거든요? 두 말을 합치면 “옆에 나란히 놓다” “비교하다”라는 뜻이 됩니다. 어려운 영적인 진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들을 나란히 놓고 그 영적인 진리를 깨닫도록 하는 것입니다.
여기에 굉장히 중요한 통찰(insight)이 있습니다. 생활 주변에서 아무렇지 않게 볼 수 있는 것들이 하나님을 드러낸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여자들이 부엌에 두고 빵을 구울 때 쓰는 누룩(yeast)이 있습니다. 누룩을 넣으면 밀가루가 부풀어 오릅니다. 예수님은 이 누룩을 보여 주시면서 하나님의 나라가 자라는 것이 꼭 이 누룩과 같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누룩처럼 작은 우리의 헌신과 기도를 통해서 하나님의 나라가 이루어져 나간다는 것입니다. 이 사실을 믿는 사람은 주변의 사소한 일에도 최선을 다합니다. 그리고 작은 일의 가치를 인정합니다.
헨리 나우웬(Henri Nouwen, 1932-1996, 네델란드)이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 사람이 학자로서 얼마나 대단한 사람인지는 더 이상 말하지 않겠습니다. 이 사람은 예일 신학교의 종신 교수였습니다. 그리고, 하바드 신학교의 초빙을 받아 실천신학을 가르쳤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그는 갑자기 교수직을 버리고 캐나다 온타리오에 있는 ‘라르쉬 데이브레이크 공동체(The L'Arche Daybreak Community)’에 채플린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는 그 공동체에서 지체 부자유자들을 섬기면서 얻은 깨달음을 가지고 많은 책들을 썼습니다. 일반인들에게 잘 알려진 책으로 초기에 나온 책이 ‘예수의 이름으로(In The Name of Jesus, 1989)’라는 책입니다. 가장 나중에 나온 책 중의 하나가 ‘탕자의 귀향(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 1992)’이라는 책입니다.
1983년, 프랑스를 여행하던 나우웬은 ‘라르쉬 공동체’에서 일하고 있는 친구의 사무실에 걸려 있는 렘브란트(Rembrandt, 1606-1668, 네덜란드)의 그림 ‘탕자의 귀향(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이라는 그림을 보고 그 그림에 매료되고 맙니다. 그로부터 3년 후, 그는 러시아의 ‘에르미타주’ 미술관에서 렘브란트의 원작을 보게 됩니다. 그는 그 그림 앞에 몇 시간이고 앉아 햇빛의 각도에 따라 그림이 시시각각으로 바뀌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그림에 등장하는 각각의 인물이 담고 있는 의미들을 렘브란트와 자신의 삶에 투영시켜 정밀하게 해석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이렇게 해서 출판된 책이 ‘탕자의 귀향’이라는 책입니다.
이 그림에서 가장 눈길이 가는 인물은 중앙에 있는 아버지입니다. 고령의 아버지이지만 아버지는 넓은 어깨와 가슴을 가졌습니다. 그 어떤 사람이라도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는 인자한 아버지의 모습입니다. 그리고 아버지가 어깨에 두른 빨강 망또는 아버지의 고귀한 신분과 권위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아버지의 눈에 초점이 없어 보입니다. 나우웬은 아버지의 눈이 눈물로 짓물러 거의 시력을 잃어버린 것 같아 보인다고 했습니다. 나우웬은 아들의 어깨 위에 놓여 있는 두 손이 서로 다른 크기와 모양으로 그려진 것을 주목했습니다. 마치 아버지의 오른손은 어머니의 손처럼 고운 반면에 아버지의 왼손은 투박하고 굵직한 힘줄이 보입니다. 마치 힘센 아버지의 손과 아들을 사랑과 용서로 감싸는 어머니의 손이 모두 보입니다.
그 다음으로 눈길을 끄는 사람은 아버지 품에 무릎을 꿇고 안겨 있는 작은 아들입니다. 아들의 머리는 짧게 깎은 것이 마치 어머니의 자궁 속에 들어 있는 태아(fetus)를 연상케 합니다. 타향에서 온갖 고생을 하다가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온 아들의 평안한 모습을 렘브란트는 그런 모습으로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이 아들은 아버지의 유산을 미리 받아 가지고 집을 나가 ‘방탕한 생활(prodigal living)’을 하다가 가진 돈을 모두 날렸습니다. 이 아들의 남루한 모습이 그의 방탕했던 생활의 결과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의 신발 한 짝은 벗겨져 맨발이었고, 다른 신발 한 짝도 뒤꿈치가 떨어져 나갔습니다.
누가는 예수님의 이야기를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그제서야 그는 제정신이 들어 말했다. ‘내 아버지의 품꾼들에게는 양식이 풍족하여 먹고도 남는데 나는 여기서 굶어 죽는구나. 일어나 아버지께 돌아가 말해야겠다. 아버지, 저는 하나님과 아버지 앞에 죄를 지었습니다. 저는 더 이상 아버지의 아들이라고 불릴 자격이 없습니다. 저를 아버지의 품꾼 가운데 하나로 여기십시오.’ 그 아들은 일어나 아버지에게로 갔다.” (누가복음 15:17-20)
아버지에게 받아온 돈이 아직 남아 있었을 때는 괜찮았습니다. 그런데, 돈이 떨어지고, 일자리를 구할 수 없게 되고 먹을 것이 없는 절망적인 상황을 맞이한 것입니다. 이 탕자의 이야기가 남의 이야기가 아니라 나의 이야기가 될 수 있고, 우리의 이야기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까? ‘A Long Way Off(아득히 먼 길, 2014)’라는 제목의 영화가 있습니다. 이 영화 제목에 이런 부제를 붙였습니다. ‘The Modern Day Story of The Prodigal Son(현대판 탕자의 이야기)’이라고요. 그리고, 포스터에 이런 글이 쓰여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We all know one, have been one, or are waiting for one to come home (우리 모두는 그 한 사람을 알고 있거나, 그 한 사람이었거나, 그 한 사람이 집에 돌아오기를 기다리고 있다).”
‘탕자의 비유’를 조심해서 읽어보면 좀 이상한 생각이 듭니다. 작은 아들에게 돈이 떨어지자 때마침 그곳에 큰 흉년이 듭니다. 사람들은 이런 경우를 맞을 때 ‘엎친데 덮친 격’이라고 합니다. ‘설상가상(雪上加霜)’이라는 말도 합니다. 하지만, 크리스천의 눈으로 지금 작은 아들에게 일어나는 일들을 생각해 보세요. 그리고, 작은 아들이 하는 말을 들어 보세요. “내 아버지의 품꾼들에게는 양식이 풍족하여 먹고도 남는데 나는 여기서 굶어 죽는구나.” (17절) 아버지 집을 나간 그 작은 아들을 다시 아버지 집으로 돌아오게 하려는 하나님의 계획이 지금 작용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까?
키에르케고르(Søren Kierkegaard, 1813-1855, 덴마크)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탁월한 신학자이고 철학자입니다. 인류 사상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실존주의 철학을 주창하신 분입니다.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 1788-1860),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 1844-1900), 칼 야스퍼스(Karl Jaspers, 1883-1969), 하이데커(Martin Heidegger, 1889-1976), 카뮈(Albert Camus, 1913-1960) 등이 모두 키에르케고르의 영향을 받은 실존주의 철학자들입니다. 뿐만 아니라 키에르케고르는 현대 신학의 기초를 세운 신학자로 추앙을 받고 있습니다. 그의 저서 중에 ‘이것이냐 저것이냐(Either/Or, 1843)’ ‘공포와 전율(Fear And Trembling, 1843)’ ‘죽음에 이르는 병(The Sickness Unto Death, 1849)’ 등이 유명합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The most common form of despair is not being who you are(가장 흔한 절망의 형태는 당신 자신이 아니라는 것이다).”
비참해진 자신의 모습이 작은 아들을 절망하게 했습니다. 그가 절망의 자리에 머물러 있었더라면 그는 죽음에 이르는 병을 피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면, 이 작은 아들이 절망의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가게 한 그 용기는 어디서 온 것일까요? 키에르케고르는 이것을 ‘신앙의 도약(leap of faith)’이라고 했습니다. 우리가 궁금한 것은 그 무엇이 작은 아들로 하여금 절망의 자리에서 믿음으로 도약하게 했을까요?
아버지 앞에 초라한 모습으로 돌아와 무릎을 꿇고 있는 작은 아들의 뒷모습에서 뭔가 이상한 것이 보이지 않습니까? 오른쪽 허리춤에 단도(a short sword)를 차고 있는 것이 보입니다. 왜 이 작은 아들은 단도를 차고 있을까요? 객지를 나돌다 보면 위험한 순간들이 많으니까 호신용으로 차고 있었을까요? 헨리 나우웬은 그의 책 ‘탕자의 귀향’에서 이 단도는 작은 아들에게 남은 마지막 자존심, 아들로서의 ‘정체성과 지위’를 상징한다고 해석합니다. 정말 탁월한 해석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까? 작은 아들은 갖은 고생을 하면서도 아버지의 아들로서의 자존심을 끝까지 지키기 위해 아버지의 집에서 가지고 나온 칼을 팔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이 자존심이 그를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가게 했습니다. “아버지, 저는 하나님과 아버지 앞에 죄를 지었습니다. 저는 아버지의 아들이라고 불릴 자격이 없습니다.” (19, 21절) 역설적으로, 이 말은 나를 아들로 받아 달라는 간청으로 들립니다. 아버지는 돌아온 아들에게 좋은 옷을 입히고, 손에 반지를 끼우고, 신발을 신기고 아들의 지위를 회복시켜줍니다.
마지막으로 봐야 할 사람은 그림 오른쪽에 서 있는 큰 아들입니다. 큰 아들은 두 손을 모으고 있습니다. 그의 치켜 올라간 눈썹에서 아버지에 대한 배신감과 질투와 분노, 상실감이 느껴집니다. 큰 아들이 아버지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보십시오. 저는 수 년 동안, 아버지를 섬겨 왔습니다. 그리고 한 번도 아버지의 명을 어기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아버지께서는 한 번도 저를 위해서 친구들과 즐기라고 염소 새끼 한 마리도 주신 일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창녀들과 함께 아버지의 재산을 다 써 버린 아들이 집에 돌아오니까 아버지께서는 그를 위해 살진 송아지를 잡으셨습니다.” (29-30절)
큰 아들의 말에 하나도 틀린 말이 없습니다. 큰 아들은 아버지의 말을 어긴 일이 없이 말 잘 듣는 아들로 살았습니다. 그런데 생각해 보니 아버지가 자기에게 해 준 일이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아버지 집에서 울려 퍼지는 음악 소리와 춤추는 소리도 짜증이 났습니다. 아버지 재산을 탕진하고 돌아온 동생을 그토록 감격스럽게 맞아주는 아버지의 처사도 못마땅했습니다. 그는 집을 나간 동생이 살아 돌아온 것이 전혀 기쁘지 않았습니다. 그의 감정은 메말라 있었습니다. 그는 아버지의 집에서 살면서도 그는 종처럼, 아들로 산 것이 아니라 종처럼 살고 있었던 것입니다.
아버지가 큰 아들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이 아버지의 말씀 한마디에 대반전(大反轉)이 일어납니다. “아들아, 너는 언제나 나와 함께 있었으니 내가 가진 모든 것이 네 것이 아니냐?” (31절) 그는 아버지의 집에서 아버지와 함께 살고 있으면서도 자기가 아버지의 아들이라는 사실을 잊고 살고 있었고, 한 번도 아버지의 것이 내 것이라는 생각을 못하고 살았습니다.
문제는 우리 중에 많은 사람들이 큰 아들과 같이 종의 마음을 가지고 믿음생활을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헨리 나우웬이 이렇게 말했습니다. “There are many elder sons and elder daughters who are lost while still at home(집에 머물러 살고 있으면서도 여전히 잃어버린 사람으로 살고 있는 수많은 큰 아들들과 큰 딸들이 있다).” 이 사람들은 그들이 얼마나 하나님의 축복 속에 살고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한 채 살아갑니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울어주고, 함께 기뻐해 주는 삶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이런 사람들은 교회에 나와 있으면서도 하나님의 자녀가 된 은혜를 모르고 불평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자주 짜증을 냅니다. 스스로가 아들이 아니라 종의 마음과 태도를 가지고 살고 있다는 것을 드러냅니다.
렘브란트의 그림 속에 제3의 인물이 있습니다. 아버지와 큰 아들 사이에 있는 모자를 쓴 사람인데, 이 상황에 전혀 어울리지 않는 사람입니다. 이 사람은 무표정으로 자리에 앉아 다리를 꼬고 앉아 있습니다. 이 사람이 누구일까요? 이 사람은 렘브란트 자신입니다. 렘브란트는 자기가 그 상황 속에 들어가 객관적으로 이 집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관찰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실제로 렘브란트의 생애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그가 그린 ‘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처럼 기구하고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고 합니다. 그는 그의 그림을 통해서 하나님의 품에 안기는 위로와 평안을 맛보려고 했던 것 같습니다.
끝으로, 헨리 나우웬이 한 말을 소개함으로써 오늘 설교를 마치려고 합니다. “But what makes us human is not our mind but our heart, not our ability to think but our ability to love(하지만 우리를 인간이 되게 하는 것은 우리의 생각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이다. 우리의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 아니라 우리가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이다).” 나우웬은 ‘탕자의 귀향’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는 아버지의 품에 안긴 작은 아들이 되려고 해서도 안 되고, 큰 아들이 되려고 해서도 안 된다. 우리 모두는 탕자를 용서해주고 받아주는 아버지들이 되도록 해야 한다.”
7/10/2022 | 신약성경의 핵심 말씀 시리즈6
다른 복음은 없다! There is No Another Gospel!
요한복음 3:14-17
요한복음 3:16을 가리켜 ‘복음 중의 복음’이라고 말합니다.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이 말씀보다 더 간단하게 복음을 설명할 수 있을까요? 이 말씀보다 더 분명하게 복음을 설명할 수 있을까요? 이 말씀보다 더 알기 쉽게 복음을 제시할 수 있을까요? 이 말씀의 중심에 하나님의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가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구원하기 위하여 자기의 ‘독생자(獨生子, God’s only begotten son)’를 보내 주셨습니다. 그리고 그를 믿는 사람은 누구나 영원한 생명을 얻을 수 있는 길을 열어주셨습니다.
하나님께서 이렇게 자기의 하나 밖에 없는 ‘독생자’를 세상에 보내신 이유는 아주 간단합니다. 이 세상을 사랑하셨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이 말씀을 읽을 때마다 말문이 막힙니다. 세상이라는 말은 희랍어로 ‘코스모스(κόσμος)’입니다. 우주(universe)라는 의미로 번역할 수도 있지만, ‘코스모스’는 ‘whole creation(모든 피조물)’을 말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세상에 사는 사람들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니, 이 세상을 얼마나 사랑하셨길래 자기 아들을 세상을 보내셨을까? 아니, 사람들을 얼마나 사랑하셨길래 자기 아들이 십자가에 못박혀 죽게 할 정도로 사랑하셨을까?” 하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구약시대에 아브라함은 아들이 없다가 100살이 되어 아들을 낳았습니다. 그의 아내는 90세였습니다. 이미 아들을 낳을 수 있는 나이가 훨씬 지났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라가 하나님의 은혜로 아들을 낳았습니다. 어느 날,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너는 사랑하는 아들 이삭을 내가 너에게 일러주는 산에서 나에게 번제물로 바쳐라.” (창세기 22:2-3) 이 말씀을 들은 아브라함이 어떻게 했는지 아십니까?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해서 이삭을 데리고 번제에 사용할 나무를 가지고 하나님이 지시하신 산으로 갔습니다. 이런 아브라함의 행동이 이해가 되시나요? 다른 것이면 몰라도 어떻게 100살이 되어서 낳은 그의 ‘독생자(his only begotten son)’를 바칠 수가 있습니까? 그것도 하나님이 은혜로 주신 아들인데, 다시 하나님께 제물로 바치라는 것이 말이 됩니까?
그런데, 여러분, 아브라함에게 있었던 일과 비교도 할 수 없는 엄청난 일이 일어났습니다. 하나님께서 자기의 ‘독생자’를 이 세상에 보내셔서 ‘우리를 위해(for us)’ 희생 제물이 되게 하신 것입니다. 바울은 이 일에 대하여 이렇게 썼습니다. “설령 우리가 선한 사람이라고 할지라도 누군가가 우리 대신 죽는다는 것은 기대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아직 죄인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죽으심으로 우리에게 대한 하나님의 사랑을 확증하셨습니다(Very rarely will anyone die for a righteous man, though for a good man someone might possibly dare to die. But God demonstrates his own love for us in this: While we were still sinners, Christ died for us).” (로마서 5:7-8)
여러분은 하나님의 사랑에 대하여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하나님의 사랑은 우리의 사랑과 너무 다릅니다. 우리는 사랑할 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을 사랑하고, 나를 좋아하는 사람을 사랑합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사랑은 죄인들을 사랑하신 사랑입니다. 우리의 사랑은 다분히 ‘조건적인 사랑(conditional love)’이지만 하나님의 사랑은 무조건적인 사랑입니다(God’s love is unconditional). 죄인들을 아무 조건 없이, 있는 그대로 받아 주시는 사랑입니다. 이런 하나님의 사랑 덕분에 우리가 구원을 받았습니다. 만일 하나님께서 조건을 따져서 사랑하셨다면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의 대상이 될 수 없었을 것입니다.
하나님의 사랑은 구체적인 사랑입니다(God’s love is concrete). 하나님은 말로만 사랑하신 것이 아니라 그 아들을 보내 주심으로써 그 사랑을 친히 증명하셨습니다. 위에서 말한 로마서 5장 말씀에 “우리에게 대한 하나님의 사랑을 확증하셨다(God demonstrates his own love for us, 8절)”고 나와 있습니다. 이 말씀이 Christian Standard Bible에는 “But God proves his own love for us(하나님은 우리에 대한 그의 사랑을 증명하셨습니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하나님의 사랑은 개인적인 사랑입니다(God’s love is personal). ‘누구든지 그를 믿는 사람은(whoever believes in Him)’ 구원을 얻는 사랑입니다. 여러분, 이 말씀이 얼마나 중요한 말씀인지 아시나요? 하나님께서 민족 단위로 심판하신 때가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우상숭배에 빠져 있던 나라 전체를 심판하셨습니다. BC 720년에 북왕국 이스라엘이 멸망하고, BC 586년에는 남왕국 유다가 멸망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예레미야를 통해서 ‘새로운 언약(The New Covenant)’을 선포하셨습니다. 예레미야는 예화를 들어 쉽게 ‘새로운 언약’을 설명했습니다. 아버지가 신포도를 먹었는데 옆에서 이를 보고 있던 아들의 입에서도 신물이 나옵니다. 여러분은 그런 경험이 있으신가요? 예레미야는 (예수님 이전의) ‘옛 언약(The Old Covenant)’이 바로 이와 같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예수님 이후의) ‘새 언약(The New Covenant)’에서는 신 포도를 먹은 사람의 이만 시게 된다는 것입니다(예레미야 31:29-30).
‘새 언약’은 예수님을 통해서 하나님과 맺은 ‘새로운 언약’입니다. ‘새 언약’의 핵심은 “누구든지 그 아들을 믿는 사람은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는다”는 것입니다. 과거처럼 아버지가 믿으니까 아들은 믿지 않아도 구원을 얻는 일이 ‘새 언약’에서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누구든지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야 구원을 얻습니다.
다음으로 생각해야 할 말씀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는 말이 무슨 뜻이냐 하는 것입니다. 이 말이 희랍어 원문에는 “파스 호 피스테우온 에이스 아우톤(πᾶς ὁ πιστεύων εἰς αὐτὸν)”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영어로 번역하면 “Everyone who believes in Him”입니다. "I believe in Jesus"라고 하면 예수님의 존재를 믿을 뿐만 아니라 예수님의 삶과 교훈과 예수님의 인격, 예수님께서 우리의 삶에 끼치는 선한 영향력,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으면 나의 삶이 변화된다는 사실을 믿는 것입니다. 이것이 “I believe in Jesus”라는 말 속에 들어 있는 뜻입니다.
이 말씀을 한번 보시겠습니까? 기독교 변증가였던 C.S. Lewis가 한 말인데요. “I believe in Christianity as I believe that the Sun has risen, not only because I see it but because by it, I see everything else (나는 해가 뜬 것을 믿는다. 꼭 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해가 뜬 것을 믿는 것이 아니라 해의 밝은 빛을 통해 다른 것들 것 볼 수 있기 때문에 해가 뜬 것을 믿는 것이다. 나는 그렇게 기독교를 믿는다).” —“Is Theology Poetry?” The Weight of Glory 정말 명언 아닙니까? C.S. Lewis는 우리 시대의 가장 탁월한 기독교 변증론자(apologist)였습니다. 그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는 것을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 보십시오. 꼭 해를 눈으로 보기 때문에 해가 뜬 것을 믿는 것이 아니라 (해를 눈으로 보지 않아도) 해에서 나오는 빛을 통하여 다른 모든 사물들을 볼 수 있기 때문에 해가 뜬 것을 믿는 것처럼, 마찬가지로,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것도 그렇습니다. 우리가 눈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보기 때문에 그의 존재를 믿는 것이 아니라 그를 통해서 우리의 삶이 변화되고, 우리의 가치관이 변화되어서 세상을 올바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것입니다.
위의 글에서 루이스가 말하고자 했던 것이 무엇이었을까요?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올바로 믿는다면 반드시 변화의 삶을 살게 된다는 것 아닐까요?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면 반드시 그 믿음이 우리의 삶으로, 우리의 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는 것 아닐까요? 우리의 믿음이 행동으로 보여지지 않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고 볼 수 없습니다. 맞습니까? 삶이 변하지 않는 에베소 교회 교인들을 보면서 바울이 안타까운 마음으로 쓴 글 중에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그리스도에 관해 그렇게 배우지 않았습니다(But That was not what you learned about Christ).” (에베소서 4:20, Good News Translation) 예수님을 올바로 배우고 믿는다면 그런 식으로 행동하고 그런 식으로 살 수 없다는 것입니다.
성경 말씀 하나 더 볼까요? “나는 행함으로 내 믿음을 당신에게 보이겠습니다(I will show you my faith by my good deeds).” (야고보서 2:18) 여기서 야고보가 말하는 믿음이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말합니다. 그는 또 이렇게 말했습니다. “Faith by itself isn't enough. Unless it produces good deeds, it is dead and useless, so faith without deeds is dead(믿음은 그 자체로서는 의미가 없습니다. 믿음에 선한 행동이 따르지 않는다면 그 믿음을 죽은 믿음이고 아무 소용없는 믿음입니다).” (야고보서 2:17, 26)
복음은 쉽고 간단합니다. 많이 배운 지식인들만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누구나 듣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이 세상을 사랑하셔서 그의 하나 밖에 없는 외아들을 우리를 위해서 보내주셨습니다. 그 아들이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그 아들을 믿는 사람들은 누구나 영원한 생명을 얻습니다.” 이것이 복음의 전부입니다. 예수님의 제자들은 세상에 나가서 이 복음을 전파했습니다. 그런데, 2,000년 전의 이스라엘의 상황은 간단하지 않았습니다. 마음 놓고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파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습니다.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박아 죽인 유대교의 지도자들은 예수님에 대한 이야기를 더 이상 전파하지 못하도록 금지시켰습니다. “그들은 제자들을 불러 절대로 예수님의 이름으로 말하지도 말고 가르치지도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사도행전 4:18) 사도행전에 나오는 이 말씀이 그 당시의 분위기를 잘 말해줍니다. 하지만 예수님의 제자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복음을 전파했습니다. 공의회(the Sanhedrin)에 출석했던 제자들은 공회원들 앞에서 이렇게 선포합니다. “예수님 외에는, 다른 어떤 사람에게서도 구원을 받을 수 없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구원받을 다른 이름을 주신 적이 없습니다(There is salvation in no one else, for there is no other name by which we must be saved).” (사도행전 4:12, Christian Standard Bible)
그럼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다른 복음’을 전파하려는 시도가 있어왔습니다. 번역 성경들을 보면 ‘다른 복음’을 ‘a different gospel’ 혹은 ‘another gospel(KJB)’이라고 번역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아는 복음과 다른 변질된 복음을 말합니다. 고린도후서 11:4, 갈라디아서 1:6에 ‘다른 복음’이라는 말이 나옵니다. ‘a different gospel that pretends to be the Good News(복음인 것처럼 보이는 다른 복음, New Living Translation)’이라고 설명을 붙인 성경도 있습니다.
왜 이런 ‘다른 복음’이 나오게 되는 것일까요? 놀랍게도 복음이 너무 간단하고 쉽기 때문에 이런 말들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적어도 갈라디아 교회에서 일어난 ‘다른 복음’은 그런 이유로 생긴 일이었습니다. “아니, 예수님을 믿기만 하면 구원을 얻는다니? 이게 말이 됩니까? 구원이 그렇게 쉽게 얻어지는 줄 아세요?” 갈라디아 교회에 이런 주장을 가르치는 율법주의자들이 있었습니다. 구원의 교리가 쉬우면 우리가 얻는 구원은 우리의 노력이 아닌 하나님의 은혜로 얻는 구원이 됩니다. 그러나, 구원의 교리가 어려우면 하나님의 은혜가 아닌 나의 힘으로 얻는 구원이 됩니다. 그런데, 사람들의 본성 속에 구원은 어렵게 얻어야 한다는 생각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다른 종교들을 보십시오. 그들이 주장하는 구원의 과정이 얼마나 어렵습니까? 구원의 문이 좁아 극소수의 사람들만 구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사는 이 시대에는 ‘다원주의(多元主義, pluralism)’라는 ‘다른 복음’이 있습니다. ‘다원주의’는 ‘포스트모더니즘(The Postmodernism)’에서 나타나는 경향입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절대적인 가치를 모두 부정하고 상대적인 가치만을 인정하는 시대적인 경향입니다. 지금 우리는 이런 시대적인 경향 속에 살고 있습니다. 우리 시대에는 과거와 달리 영웅이 나오지 않습니다. 목사님들도 그렇습니다. 과거와 달리 성인으로 추앙받는 목사님들이 나오지 않습니다. 다원주의를 신봉하는 사람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야 구원받는다는 성경의 교리를 시대 착오적이라고 비판합니다. 기독교만 절대적이라는 주장은 독선적이라고 비판합니다. 다른 종교에도 구원이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종교 간의 대화가 가능하고, 서로 공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것이 ‘다원주의자들(pluralists)’의 주장입니다.
복음의 내용을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다른 복음’의 유혹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폴 니터(Paul Knitter)가 쓴 책 중에 “No Other Name(다른 이름은 없다고)?” 이런 제목의 책이 있습니다. 1985년에 출판된 책인데요. 이 책에 ‘A Critical Survey of Christian Attitudes Toward The World Religion(세계 종교에 대한 크리스천의 태도에 대한 비판적인 조사)’ 이런 부제가 붙어 있습니다. 여러분, 이 책 한 권만 읽으면 쉽게 다원주의자들이 되고 맙니다. 그만큼 설득력 있게 잘 쓴 책입니다.
여러분은 ‘복음’을 올바로 알고 있습니까? 복음은 쉽고 간단합니다. 얼마나 쉽습니까? “모세가 광야에서 뱀을 높이 들었던 것처럼 인자도 들려야 한다. 그것은 그를 믿는 사람들에게 영생을 얻게 하기 위해서이다.” (14-15절) 예수님께서 구태여 이 말씀을 하신 이유가 무엇일까요? 광야시대에 뱀에 물려 죽어가던 사람들이 장대에 매단 구리 뱀을 쳐다본 사람들은 모두 살았습니다(민수기 21:4-9). 예수님께서 이 이야기를 하시면서 자신도 십자가에 매달리게 될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죄로 죽을 수밖에 없는 사람들이지만 십자가에 매달리신 나를 바라보는 사람들은 누구나 구원을 얻는다는 것입니다. 얼마나 쉽고 간단합니까? 복음에는 인간의 노력이 전혀 들어가지 않습니다. 구원은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지는 선물입니다. ‘다른 복음’은 하나님의 은혜를 인간의 노력으로 대치시키려는 인간적인 시도입니다.
7/3/2022 | 신약성경의 핵심 말씀 시리즈5
값싼 은혜는 이제 그만! No More Cheap Grace!
누가복음 9:23-27
오늘 예수님의 말씀은 ‘제자도(discipleship)’에 대한 말씀입니다. 예수님의 제자들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삶의 방식을 제자도라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자도’를 그렇게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러면서도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고, 하나님의 도움을 기대하면서 하나님의 은혜를 ‘값싼 은혜’로 만들고 있습니다. 목사들은 강단에서 ‘값싼 은혜’를 설교하고 있습니다. 죄와 단절하지 못하고 계속 죄를 짓는 삶을 살면서도 자신이 크리스천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하나님과 아무 상관이 없고 복음과 아무 상관이 없는, 자기 자신만을 위한 삶을 사는 사람들입니다.
요한복음 8장에 ‘간음하다가 현장에서 붙잡힌 한 여자’에 대한 말씀이 있습니다. 정말 끔찍한 말씀입니다. 그런데 이 말씀을 처음부터 읽어보면 이 사건이 사전에 기획된 사건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예외 없이 이 사건에도 율법학자들이 등장하고, 바리새인들이 등장합니다. ‘율법학자(teacher of religious law)’는 율법을 두루마리에 필사(筆寫, copy)하는 전문가를 말합니다. 개역성경에는 ‘서기관(書記官, scribe)’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고대에는 지금과 같은 인쇄술이 없었기 때문에 일일이 손으로 써서 사본(寫本)을 만들어야 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필사할 때 오류가 있어서는 안 되기 때문에 고도의 훈련을 받은 전문가들이 이 일을 했습니다. 말씀을 필사하다보니 이 사람들은 말씀에 대한 많은 지식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충격적인 사실은 율법학자들이 예수님을 제거하기 위한 음모를 꾸미는데 늘 앞장을 섰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하나님의 말씀을 많이 알고 말씀에 정통해도 인간성이 변하지 않는다면 아무 소용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바울이 갈라디아 교회에게 쓴 편지 중에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통해 세상은 나에 대해서 죽었고, 나는 세상에 대해서 죽었습니다. 할례를 받느냐 받지 않느냐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새로운 백성이 되는 것입니다(It doesn't matter if you are circumcised or not. All that matters is that you are a new person).” (갈라디아서 6:15, Contemporary English Version) 바울은 믿음생활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 사람’이 되는 것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던 것입니다.
‘간음(姦淫, adultery)’은 율법에서 금하는 것입니다. 간음한 사람은 돌로 쳐 죽이게 되어 있습니다. 간음하다가 현장에 붙잡힌 여자의 사건이 기획된 사건처럼 보이는 이유는 율법학자들과 바리새인들이 이 여자를 이용해서 예수님을 함정에 빠뜨리려는 불순한 의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입니다(요한복음 8:6). 이들이 예수님께 이렇게 묻습니다. “이런 여자는 율법에 돌로 쳐 죽이도록 되어 있습니다. 선생께서는 이 여자를 어떻게 하라고 하시겠습니까?” 예수님은 이들의 질문에 이렇게 대답하셨습니다. “너희 중에 죄 없는 사람이 먼저 이 여자를 돌로 치라.” 신기하게도 예수님의 이 말씀 한마디에 사람들은 한 사람 두 사람 슬그머니 자리를 떴습니다. 이 여자를 끌고 왔던 율법학자들과 바리새인들도 슬그머니 자리를 피했습니다. 예수님께서 이 여자에게 말씀하십니다. “나는 너를 정죄하지 않는다. 가서 다시는 죄를 짓지 마라(I don’t condemn you. Go and sin no more).” (요한복음 8:11)
이 여자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서 끝이 납니다. 한번 생각해 보십시오. 이 여자는 예수님으로부터 죽음의 현장에서 구원받았습니다. 그리고 죄의 용서를 받았습니다. 아시잖아요? ‘은혜(grace)’라는 말은 ‘God’s undeserved favor(하나님의 감당할 수 없는 은혜)’라는 뜻입니다. 왜 예수님께서 이 여자에게 은혜를 베풀어 주셨습니까? 단순히 그 여자가 불쌍해서 그랬을까요? 아닙니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은혜를 통하여 이 여자에게 새 사람이 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신 것입니다. 네가 하나님의 은혜를 받았으니 이제 그 은혜에 합당한 삶을 살아야 한다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에베소서 2장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하나님의 뜻을 따르지 않아 영적으로 죽은 우리들에게,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를 통하여 새 생명을 주셨습니다. 여러분은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을 받았습니다(It is only by God's grace that you have been saved).” (5절) 또 이 말씀을 조금 더 읽어가면 이런 말씀이 나옵니다. “여러분은 하나님의 은혜 안에서 믿음으로 구원을 받았습니다. 구원은 하나님의 선물입니다(God saved you by his grace when you believed. It is a gift from God).” (8절) 우리의 구원이 하나님의 은혜라고 합니다. 또 우리의 구원이 하나님의 선물이라고 합니다. 이 말씀 속에 들어 있는 하나님의 메시지가 무엇입니까? 이제 전처럼 살지 말고 하나님의 은혜와 선물을 받은 사람 답게 살아야 한다는 것 아닙니까?
오늘 우리가 크리스천으로서 정체성이 희미하고, 하나님의 자녀로서 능력이 없는 삶을 살고 있는 것은, ‘제자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은혜를 받고 이제 이렇게 살아야 하겠구나 하는 결단이 없는 것입니다. ‘결단(決斷)’이라는 말은 ‘결단할 결’자와 ‘끊을 단’자로 되어 있습니다. 여러분이 예수님을 믿고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를 깨달은 후에, 예전의 삶과 단절하고 새로운 삶을 살아야 하겠다고 마음의 결단을 내린 분이 계십니까? 많은 분들이 하나님의 은혜에 대하여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새로운 삶을 살아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제자도’는 예수님의 제자로 부름을 받은 사람들이 예수님께서 보여 주신 새로운 삶의 방식을 따라 사는 것입니다. 제자도는 다른 것 아닙니다. 예수님을 따르는 것입니다. 예수님을 따른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이 말씀을 한번 보세요.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1906-1945)의 말인데요. 대표작 본회퍼는 천재 신학자였습니다. 21살에 베를린 대학에서 ‘신자의 공동생활’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그 때 그를 지도한 사람은 신학계의 거장 칼 바르트(Karl Barth)였습니다. 그리고 24살에 ‘존재와 행위’라는 논문으로 교수 자격논문이 통과되어 교수 자격을 얻게 되었습니다. 다음 글은 그의 대표작 ‘The Cost of Discipleship(제자직의 대가)’에 나오는 말입니다. 우리 말로는 ‘나를 따르라’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습니다. “The life of discipleship can only be maintained so long as nothing is allowed to come between Christ and ourselves—neither the law, nor personal piety, nor even the world. The disciple always looks only to his master, never to Christ and the law, Christ and religion, Christ and the world. He avoids all such notions like the plague. Only by following Christ alone can he preserve a single eye (제자도는 율법도, 개인의 경건도, 세상도, 그 밖에 어떤 것도 그리스도와 우리 사이에 끼어들도록 허용되지 않아야 유지될 수 있다. 제자는 항상 그의 주인만 바라보지 그리스도와 율법, 그리스도와 종교, 그리스도와 세상을 바라보지 않는다. 그는 마치 전염병을 피하듯이 그런 개념을 피한다. 제자는 오직 그리스도를 따름으로 말미암아 하나의 눈을 지켜 나갈 수 있다).”
여러분, 본회퍼가 말한 ‘하나의 눈을 보존한다 혹은 지킨다(preserve a single eye)’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우리에게 두 개의 눈이 있는데요. 이 두 개의 눈을 가지고 각각 다른 대상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시선이 분산되지 않고 두 개의 눈을 가지고 하나의 대상만 바라보는 것입니다. 이것이 본회퍼가 말하는 ‘a single eye’입니다. 어떻게 해서든지 ‘하나의 눈을 가지고 하나의 대상 즉 주님만 바라보는 것’ 이것이 ‘제자직’의 핵심입니다.
주님은 나를 따르기 위해서는 자기를 부인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자기를 부인한다”는 말이 무슨 뜻일까요? 대부분의 번역 성경들은 이 말을 “You must deny yourselves”라고 번역했습니다. New Living Translation에는 이 말씀이 “You must turn from your selfish ways(너희들의 이기적인 삶의 방식에서 돌아서야 한다)”라고 번역했습니다. 자기 자신의 이기적인 욕구에 대하여 “아니요(No)”라고 대답하고, 그리스도께서 요구하시는 것에 대해서는 “예(Yes)”라고 대답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자기를 부인한다”는 말씀의 뜻입니다.
이 말씀을 한번 보시겠습니까? “우리 주님의 뜻 안에서 가까운 시일 안에 디모데를 여러분에게 보내려고 합니다. 여러분에 관한 소식을 듣게 되면, 내 마음이 위로받을 것 같습니다. 디모데만큼 여러분에 대해 걱정하고 마음 쓰는 사람도 없을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은 모두 자기 일에만 정신이 팔려 있어서, 예수 그리스도의 일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그러나, 디모데는 그렇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디모데의 인품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빌립보서 2:19-22) 이기주의는 우리에게 낯설지 않은 인간의 본능(本能, nature)입니다. 원래 우리가 다 자기 자신만 생각하는 이기적인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런데, 조금이라도 다른 사람들을 생각하고 위할 수 있는 것은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은혜로 연단을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 중에 어떤 분은 우리가 이기주의를 이기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분이 있을지 모릅니다. 맞습니다. 우리 생각에는 불가능하게 보입니다. 그러나, 하나님께는 불가능한 일이 없습니다. 바울은 디모데에 대하여 이렇게 썼습니다. “Timothy has proved himself. Like a son with his father, he has served with me in preaching the Good News(디모데는 자기 자신을 증명했습니다. 아버지와 아들처럼 그는 복음을 전파하는 일에 나와 함께 섬겼습니다).” 바울은 이런 디모데를 매우 사랑했습니다. 심지어 디모데를 생각만 해도 기분이 좋다고 말할 정도였습니다(디모데후서 1:4). 그리고 바울은 그가 가장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을 때 디모데에게 옆에 있어 달라고 부탁했습니다(디모데후서 4:9, 21).
디모데가 이기주의를 이길 수 있다는 것을 증명을 했다고 하지 않습니까? 위에서 소개했던 본회퍼는 어떻습니까? 독일의 나치주의가 극성을 부릴 때 본회퍼를 잘 아는 라인홀드 니버(Reinhold Niebuhr)를 비롯한 미국의 신학자들이 본회퍼를 뉴욕에 있는 유니온 신학교(Union Theological Seminary)의 교수로 초빙했습니다. 그들 생각에 본회퍼를 독일에 그냥 두면 결국 불행한 일이 일어날 것을 예감했기 때문입니다. 본회퍼로서는 정말 좋은 기회를 잡은 것입니다. 그 때가 1939년, 그의 나이 33살 때였습니다. 교수 초빙을 수락하고 독일로 돌아가지 않으면 위기를 넘길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는 독일로 돌아가기로 결심합니다. 그 때 그가 라인홀드 니버에게 쓴 편지가 읽는 사람들의 마음에 큰 감동을 줍니다. 그가 쓴 글 속에 참된 그리스도의 제자의 모습이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 편지 글을 한번 보세요. “I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I made a mistake to coming to America. I have to live through the difficult period of our national history with the Christians in Germany. I will have no right to assist with the restoration of Christian life after the war in Germany if I do not share the trials of this period with my people(내가 미국에 온 것이 실수였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저는 우리 민족사의 어려운 시기를 내 조국의 기독교인들과 함께 겪어야 합니다. 이 시련의 시간을 내 민족과 함께 나누지 않는다면 나는 전후 독일에서 그리스도인의 삶의 회복을 도울 권리가 없을 것입니다).”
주님은 나를 따르기 위해서는 매일 자기 십자가를 져야 하고, 주님과 주님의 말씀을 부끄러워하지 않아야 한다고 하셨습니다(23, 26절). 우리가 사는 세상은 고통과 전쟁과 질병과 가난이 끊이지 않는 세상입니다. 우리는 이 고난을 우리와 상관없다고 외면하지 않아야 합니다. 주님이 우리의 고난에 참여한 것처럼, 우리도 세상의 고난에 참여하고 그 고난을 함께 나누어야 합니다. 이것이 자기 십자가를 지라는 주님의 말씀의 뜻입니다.
이것이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제자직’입니다. 제자의 삶 그 어디에도 이기주의는 설 자리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은혜를 ‘값싼 은혜(cheap grace)’로 만드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나님의 은혜에 합당한 삶을 살지 않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다시 본회퍼의 말을 들어볼까요? “Cheap grace is grace without discipleship, grace without the cross, grace without Jesus Christ, living and incarnate(값싼 은혜는 제자직이 없는 은혜이고, 십자가 없는 은혜이고, 살아 있고 성육신한 예수 그리스도가 없는 은혜이다).”
제자의 삶을 살기 위해서 자신을 완전히 희생해야 하기 때문에 소수의 사람들에게만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오해입니다. 사람의 생각에는 불가능하게 보여도 하나님께는 불가능한 일이 없습니다. 예수님의 비유 중에 ‘밭에 묻힌 보물(마태복음 13:44)’에 대한 비유가 있습니다. 어떤 사람이 밭을 갈다가 땅 속에 많은 보물이 묻혀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 사람은 집으로 돌아와 자기 전 재산을 팔아 그 밭을 샀습니다. 그 밭에 엄청난 보물이 묻혀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주님이 말씀하신 ‘제자의 삶’이 꼭 그렇습니다. 주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제자직을 선택한 사람들은 어찌보면 그 전 재산을 팔아 밭을 산 사람처럼 어리석게 보입니다. 주님은 제자직의 삶을 사는 사람들은 얼핏 보기에 ‘자기 생명을 잃는 사람들(those who lose their lives)’처럼 보인다고 하셨습니다. 하지만 사실은 ‘자기 생명을 건지는 사람들(those who save their lives)’이라고 하셨습니다(24절).
여러분이 잘 아는 C.S. 루이스(C.S. Lewis, 1998-1963)가 그의 대표작 ‘Mere Christianity(순전한 기독교, 1952)’에서 이런 말을 했습니다. “Until you have given up yourself to Him, you will not have a real self(그리스도에게 당신 자신을 온전히 드릴 때까지 당신은 진정한 당신 자신이 될 수 없다).” 어떤 사람들은 ‘제자직’을 굉장한 것으로 말할지 모르지만, ‘제자직’은 소수의 사람들만 살 수 있는 특별한 삶이 아닙니다. ‘제자직’은 하나님의 은혜를 받은 사람들은 누구나 그렇게 살아야 하는 인간 본래의 삶으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6/26/2022 | 신약성경의 핵심 말씀 시리즈4
선한 목자이신 예수님 Jesus The Good Shepherd
요한복음 10:9-15
‘Seven I AM Statements in the Gospel of John(요한복음에 나오는 7개의 I AM)’이란 말을 들어 보셨습니까? ‘I AM’이라는 말은 출애굽기 3:14에 나오는 “나는 스스로 있는 자이다”라는 말을 영어로 번역한 것입니다. 하나님은 모세에게 ‘나는 스스로 있는 자’라고 자기 이름을 밝히셨습니다. BC 3세가 중엽에 헬레니즘의 영향으로 히브리어로 된 성경을 그리스어로 번역해야 할 필요성이 있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번역된 성경을 ‘셉투아진트(Septuagint, 70인 역)’라고 합니다. 이 때 출애굽기 3:14에 나오는 “나는 스스로 있는 자이다”라는 말을 ‘εγώ εἰμί(ego eimi)’라고 번역했습니다. 영어로 번역하면 ‘I AM’이 됩니다.
‘I AM’은 하나님께서 자기 자신의 정체를 드러내신 것입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요한복음에 보면 예수님께서 자기를 가리켜 ‘I AM’이라고 말씀하신 일곱 개의 말씀이 있습니다. “나는 생명의 빵이다(요한복음 6:35).” “나는 세상의 빛이다(요한복음 8:12).” “나는 문이다(요한복음 10:9).” “나는 선한 목자다(요한복음 10:11,14).”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다(요한복음 11:25).”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요한복음 14:6).” “나는 포도나무다(요한복음 15:1, 5) 요한복음에만 ‘I AM’이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면, 마태복음 14:27에 “안심해라!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라는 말씀이 나옵니다. 이 말씀이 New Living Translation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But Jesus spoke to them at once. "Don't be afraid," he said. "Take courage. I am here!①" / ①Or The `I AM' is here; Greek reads I am. See Exod 3:14 “I am here”라는 말은 정확한 번역이 아닙니다. 주(note) ①에 있는 대로 “I AM is here(I Am이 여기 있다)” 이렇게 번역해야 정확한 번역입니다.
복음서에 나오는 ‘I AM’이라는 말이 중요한 이유는 이 말이 예수님께서 하나님이시라는 것을 드러낸 말이기 때문입니다. 물 위로 걸어오신 예수님께서 제자들이 탄 배에 오르시자 바람이 그치고 풍랑이 잔잔해졌습니다. 이것을 본 제자들은 “주님은 분명히 하나님의 아들이십니다!(마태복음 13:33)”라고 고백했습니다. 제자들이 그 때 경험했던 예수님은 모세가 호렙산에서 만났던 ‘스스로 있는 자’ 그 하나님과 동일한 분이었습니다.
그런데요. 오늘 제가 ‘I AM’에 대한 말씀을 드리는 이유는 “나는 선한 목자다(I am the good shepherd, 11절)” 이 말씀이 ‘I AM’ 구절이라는 것을 말씀드리기 위해서입니다. 이 말씀을 정확하게 번역하면 “I AM is the good shepherd”라고 해야 합니다. “나는 선한 목자이다” 이렇게 말씀하시는 예수님은 바로 ‘I AM’, ‘스스로 계시는 분’ 오늘 우리가 ‘여호와’ 혹은 ‘야훼’라고 부르는 바로 그 하나님입니다. 히브리 사람들은 ‘스스로 계시는 분’을 발음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이 말이 네 개의 자음으로만 되어 있거든요. 나중에 모음을 붙여서 ‘여호와(Jehovah)’ 혹은 ‘야훼(Yahweh)’라고 발음을 했습니다. 발음을 할 수 없으니까 ‘주님’이라는 뜻을 가진 ‘아도나이(Adonai)’라는 말에서 모음 네 개를 빌려와 발음을 했습니다. 그렇게 발음한 것이 ‘여호와’ 혹은 ‘야훼’입니다.
예수님은 ‘선한 목자(the good shepherd)’입니다. 예수님이 누구인지 이 말보다 더 잘 설명할 수가 없습니다. 오늘 말씀을 읽는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다윗이 쓴 시편 23편을 생각하게 됩니다.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내게 부족함이 없도다. 그가 나를 푸른 초장에 누이시며 잔잔한 물가로 인도하시도다.” (시편 23:1-2) “The LORD is my shepherd; I shall not want. He makes me to lie down in green pastures; He leads me beside the still waters.” (NKJV) 위대한 시인이었던 다윗은 이 시편을 통하여 하나님을 목자로 삼고 살아가는 사람에게 주어지는 ‘만족(滿足, satisfaction)’이 어떤 것인지 보여 주고 있습니다. 예전에 어떤 분이 한자 ‘만족’이라는 말을 설명하면서 ‘만(滿)’자는 ‘가득차다’는 뜻인데, 왜 여기에 ‘발(足)’이라는 말을 붙였는지 모르겠다고 하면서 “아무튼 무슨 이유인지 모르지만 ‘가득하다’는 말에 ‘발’이라는 말을 붙여 ‘만족’이라는 말이 만들어졌습니다” 이렇게 설명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저도 그 설명을 들을 때는 왜 ‘발’을 뜻하는 ‘足’자를 썼을까 하고 이상하게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오늘 말씀을 준비하다가 ‘발(足)’자를 붙인 궁금증이 풀렸습니다. 발은 우리 몸에서 제일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만족하다'는 말은 위로 머리에서부터 우리 몸 맨 끝에 있는 발에 이르기까지 어느 한 곳에도 부족한 것이 없는, 모든 것이 충족된 상태를 말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서 ‘만족’이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합니까? 사람들은 ‘만족’을 느끼는 곳에서 삶의 의미를 찾습니다. 문제는 어떻게 ‘만족’을 얻느냐 하는 것입니다. “Contentment should be the hallmark of my life, as I put me affairs in the hands of God(나의 일들을 하나님의 손에 맡길 때 반드시 만족이 주어진다).” 필립 켈러(W. Phillip Keller, 1920-1997, 케냐)의 말입니다. 하나님을 떠나서는 삶의 만족을 얻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필립 켈러는 선교사의 아들로 성장했습니다. 그는 아프리카에서 직접 8년 동안 목자의 삶을 경험하면서 발견한 것들을 책으로 썼습니다. 그의 대표작은 ‘A Shepherd Looks at Psalm 23(한 목자가 본 시편 23편, 우리 말로 ‘양과 목자’로 번역됨)’이라는 책입니다. 그는 그 책에서 양들이 목자의 인도를 받음으로써 배불리 먹고, 물을 마시고, 만족을 얻는 것처럼, 우리도 목자이신 하나님을 신뢰하고 하나님의 인도를 받을 때 삶의 만족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 것입니다.
성경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여호와를 자기 하나님으로 삼는 자들은 복 있는 사람입니다(Blessed are the people whose God is Yahweh).” (시편 144:15) 야훼를 자기 하나님으로 삼고 하는 사람은 정말 축복받은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이 말씀이 남의 이야기가 아니라 여러분과 저에 대한 말씀입니다. 하나님을 믿는 우리는 참 복 있는 사람들인 것을 아시나요? 왜냐하면, 여호와를 하나님으로 삼는 사람은 부족함이 없는 만족한 삶을 살기 때문입니다.
이 말씀을 한번 보십시오. 시편 95편에 있는 말씀인데요. “다 와서 엎드려 주를 경배합시다. 우리를 지으신 여호와 앞에 무릎을 꿇읍시다. 그분은 우리의 하나님이십니다. 우리는 그분 목장의 백성이며 그분이 기르는 양 떼들입니다. 오늘날 여러분에게 하시는 여호와의 말씀을 들으십시오.” (6-7절) 우리가 여호와 하나님을 경배하고 그 앞에서 무릎을 꿇고, 그분의 말씀을 들어야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생명을 창조하신 분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초장에서 사는 하나님의 양떼들이고, 하나님의 백성들(the people of His pasture)이기 때문입니다.
헬렌 켈러(Helen Keller, 1880-1968, 미국)가 이런 말을 했습니다. “The best and most beautiful things in the world cannot be seen or even touched-they must be felt with the heart(세상에서 가장 좋고 아름다운 것들은 볼 수 없고 만질 수도 없습니다. 그것들은 마음을 느껴야 합니다).” 세상에서 가장 좋고 아름다운 것들은 가슴으로 느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말에 동의하십니까? 헬렌 켈러는 볼 수 없는 ‘시각장애자’였고 들을 수 없는 ‘청각장애자’였습니다. 하지만 헬렌 켈러는 해가 넘어가는 석양의 아름다움을 마음으로 느껴 알고 있었고, 밤이 아침으로 변하는 장관을 눈으로 본 적은 없었지만 마음으로 느껴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시편 95편 말씀도 마음으로 느꼈으면 좋겠습니다. “그는 우리 하나님이시요, 우리는 그의 기르시는 백성이며, 그 손의 양이라.” (7절, 개역성경) 이 말씀이 가슴으로 느껴지시나요? “하나님이 기르시는 그 손의 양이라”는 말씀이 정말 마음에 와 닿지 않습니까? 갓난 아기들이 엄마의 손에서 무럭무럭 자라듯이, 우리는 하나님의 손에서 자랍니다. 이 하나님이 누구인가요? 스스로 계시는 분, 모세가 호렙산에서 만났던 여호와 하나님입니다.
이제 그 야훼 하나님, ‘스스로 계시는’ 여호와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통하여 “나는 선한 목자라”고 말씀하십니다. 예수님께서 스스로를 가리켜 ‘선한 목자’라고 말씀하신 이유는 자신을 ‘삯꾼(a hired hand)’과 구별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삯꾼’은 돈을 받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양들을 위해 최선을 다하지 않습니다. 자기 양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양 주인은 양들이 집으로 돌아올 때 마리 수를 세어서 모자라는 것은 목자가 물어내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사나운 짐승의 공격을 받아 양이 잡혀 먹히거나 할 때는 목자가 그 양을 구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했다는 증거를 가져오도록 했습니다.
선한 목자이신 예수님은 자기가 이 세상에 온 목적을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나는 양들이 생명을 더욱 풍성히 얻게 하기 위해 왔다.” (10절) 이 말씀이 무슨 뜻인지 이해가 되십니까? New Living Translation에 이 말씀이 “My purpose is to give them a rich and satisfying life(나의 목적은 양들에게 풍요롭고 만족한 삶을 주기 위한 것이다)”라고 나와 있고, Amplified Bible에는 “I came that they may have life, and have it in abundance [to the full, till it overflows]”라고 나와 있습니다. 예수님은 양들에게 차고 넘치도록 풍성한 생명을 주려고 왔다는 것입니다. 예수님이 말씀하시는 ‘풍성한 생명’은 삶의 의미와 목적과 관계된 말씀입니다. 예수님은 ‘잃어버린 사람들’에게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아 주기 위해서 세상에 오신 것입니다.
이 말씀을 한번 보세요. 조금 전에 소개했던 필립 켈러의 말인데요. “No pastor, no spiritual leader, is ever able to take his people any further than he himself has gone with God(어떤 목사나 영적 지도자도 그 자신이 하나님과 동행한 것 이상으로 사람들을 데리고 갈 수 없다).” 그의 말을 한번 찬찬히 생각해 보십시오. 어떤 목사나 영적인 리더도 ‘선한 목자(the good shepherd)’가 될 수 없다는 것 아닙니까? 왜냐하면 어떤 목사도, 영적인 리더도 모두 하나님과의 관계가 온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를 온전하게 하나님께로 인도할 ‘선한 목자’는 예수님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선한 목자이신 예수님은 “나는 양들을 위해서 목숨을 버린다”고 했습니다. 단순한 희생이 아니라 우리를 위해 자기 목숨을 바치신 것입니다. 바울은 “그리스도께서는 우리가 아직 죄인이었을 때에 우리를 위해 죽으셨습니다. 이로써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향한 그분의 사랑을 나타내셨습니다(로마서 5:8)”라고 말했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예수님을 ‘선한 목자(the good shepherd)’라고 부르는 이유입니다. 다윗은 나이가 어리고 전투 경험이 없다는 이유로 골리앗과의 싸움이 허락되지 않자 사울왕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저는 제 아버지의 양 떼를 지키던 사람입니다. 사자나 곰이 나타나 양을 물어 가면, 저는 그 놈들을 공격하여 그 입에서 양을 구해 냈습니다.” (사무엘상 17:34-35) 다윗은 양들을 위해 최선을 다했던 ‘선한 목자(a good shepherd)’였습니다. 그는 양들을 위해 자기 목숨을 바칠 ‘선한 목자(the good shepherd)’이신 예수님의 ‘모형(a copy)’ 혹은 ‘그림자(a shadow)’와 같은 인물이었습니다.
‘선한 목자’는 양들을 잘 안다고 하셨습니다. 이 말은 ‘양들에 대한(about sheep)’ 정보를 안다는 말이 아니라, 양들의 특징을 알고, 그들의 버릇을 알고, 그들의 건강 상태를 알고, 심지어 양들의 이름까지 안다는 뜻입니다. 양들을 인격적으로 알고 있는 것입니다. 필립 켈러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It takes some of us a lifetime to learn that Christ, our Good Shepherd, knows exactly what He is doing with us. He understands us perfectly(우리 중 어떤 사람들에게는 선한 목자이신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해야 할 일을 정확하게 아신다는 것을 배우는데 평생이 걸리기도 한다. 그리스도는 우리를 완전하게 이해하고 계신다).”
이 시간, 여러분의 관심을 ‘선한 목자’이신 예수님으로부터 우리 자신에게 돌려 보십시오.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내 양은 나를 알아본다(They know me).” (14절) “양들은 목자의 음성을 알기 때문에(because they know his voice) 그의 뒤를 따른다.” (4절) 양들이 목자를 인격적으로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예수님께서 우리의 ‘선한 목자’가 되셔도 우리가 그를 알아보지 못하고, 그의 음성을 모르면 그의 인도를 받을 수가 없습니다. 저는 이스라엘 성지순례를 갔다가 정말 우연히 목자가 양떼를 인도하는 것을 현장에서 목격했습니다. 나이가 젊은 목자인데, 양 5-60마리를 데리고 왔습니다. 목자가 피곤했는지 잠깐 자리에 앉는 사이에 양들은 금방 여기 저기 흩어져 풀을 뜯기 시작했습니다. 양들이 멀리 가면 안 되니까 목자가 조약돌을 하나 집어 저만큼 던졌습니다. 그 이상은 가지 말라는 신호였습니다. 한참 있다가 목자가 입으로 이상한 소리를 내니까 양들이 금방 목자에게 모여들었습니다. 저는 옆에서 그 신기한 광경을 열심히 카메라에 담았습니다. 여러분, 우리에게 ‘선한 양’이 되기 위한 훈련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까?
하지만, 우리가 ‘선한 양’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여기서 한걸음 더 나가야 합니다. 우리는 예수님을 닮아 다른 사람을 위한 ‘선한 목자’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언젠가 책에서 읽었던 마틴 루터 킹(Martin Luther King, Jr., 1929-1968)목사님의 말이 생각납니다. “Life’s most persistent and urgent question is ‘What are you doing for others(삶의 가장 지속적이고 긴급한 질문은 이것이다. ‘당신은 다른 사람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선한 목자이신 예수님을 따르는 우리는 이 질문에 대답해야 합니다.
6/19/2022 | 신약성경의 핵심 말씀 시리즈3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 I Will Give You Rest
마태복음 11:28-30
오늘 마태복음 본문 말씀을 읽으면서 여러분은 무슨 생각을 하셨습니까? 저는 구약성경 이사야 55장 말씀을 생각했습니다. “너희 목마른 사람아, 다 와서 마셔라. 돈이 없는 사람도 와서 마셔라. 포도주와 우유를 마시되 돈 없이, 값없이 와서 마셔라. 어찌하여 너희는 진정한 음식이 못 되는 것을 위해 돈을 쓰느냐? 어찌하여 만족시켜 주지도 못할 것을 위해 애쓰느냐? 내 말을 잘 들어라. 그러면 너희가 영혼을 살찌우는 음식을 먹게 될 것이다. 내게 와서 귀를 기울여라. 내 말을 잘 들어라. 그러면 너희가 살 것이다.” (이사야 55:1-3a)
이 말씀은 당시 하나님을 버리고 우상숭배에 빠져 있던 유다 백성들에게 주신 하나님의 메시지입니다. 하나님은 이 메시지를 그의 신실한 종 이사야의 입을 통하여 말씀하셨습니다. 저는 이 이사야 말씀을 읽으면서 우리는 얼마나 행복한 사람들인가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왜냐하면, 이사야를 통해 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깨닫는 사람들이 없었거든요? “값없이 와서 마시라”는 말씀은 무슨 뜻인지, “너희를 만족시켜 주지 못할 음식을 위해서 애쓰느냐?” 이 말씀이 무슨 뜻인지, 잘 알 수가 없거든요? 그런데, 오늘 우리는 예수님의 입을 통하여 이 말씀을 다시 듣습니다. “수고하고 무거운 짐을 지고 지친 사람은 모두 나에게 오너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할 것이다.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의 멍에를 메고 내게 배워라. 그러면 너희 영혼이 쉼을 얻을 것이다.”
우리는 이사야를 통해서 하신 말씀을 예수님을 입을 통하여 다시 들음으로써 이 말씀이 무슨 뜻인지 비로소 알게 되었습니다. 여러분, 성경에 이런 말씀이 있는 것을 아시지요? “오늘날까지도 옛 언약을 읽을 때 수건을 그대로 쓰고 있습니다. 이 수건이 아직까지 벗겨지지 않고 있는 것은, 이것이 오직 그리스도 안에서만 벗겨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고린도후서 3:14) 이 말씀이 NKJV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Until this day the same veil remains unlifted in the reading of the Old Testament, because the veil is taken away in Christ.” 여러분, 얼굴에 베일을 쓰고 사물을 본다고 생각해 보세요. 사물을 분명하게 볼 수 없어 얼마나 답답하겠습니까? 바로 구약성경을 읽을 때 그렇다는 것입니다. 마치 얼굴에 베일을 쓰고 사물을 보는 것처럼 무슨 뜻인지 분명하게 알 수 없어 답답하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 이 베일을 벗겨 주신다는 것 아닙니까? 그래서 구약성경을 읽을 때 답답하던 것이 분명하게 이해가 된다는 것 아닙니까? 구약성경은 이렇게 예수님을 통해서 읽어야 그 의미를 분명하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오늘 본문 말씀에서 “수고하고 무거운 짐을 진 사람들은 모두 내게 오라”고 말씀하십니다. 이 말씀에서 가장 마음에 와 닿는 말이 ‘수고하고’라는 말과 ‘무거운 짐을 사람들’이라는 말입니다. 한번 이른 아침에 센트럴 스퀘어에 나가 보시지요. 무표정한 수많은 사람들이 일터에 가기 위해 지하철을 타고 버스를 탑니다. 그리고 오후 늦게까지 일하고 지친 몸을 이끌고 집으로 돌아옵니다. 그리고, 내일 또 그런 일을 반복합니다. 내일만이 아니고 평생 그렇게 살아야 합니다. 생각만 해도 숨이 막히고, 피곤하고, 지치지 않습니까? 예수님은 이런 사람들은 모두 자기에게 오라고 초대하셨습니다. 이사야서에 있는 “너희 목마른 사람아, 다 와서 마셔라. 돈이 없는 사람도 와서 마셔라. 돈 없이, 값없이 와서 마셔라” 이 말씀이 예수님의 말씀과 겹쳐 들리지(overlap) 않습니까?
2,000년 전, 예수님 시대에 이스라엘 사람들은 모두 지치고 피곤한 삶을 살았습니다. 그 당시 사람들의 모습을 마태는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예수께서) 무리를 보시고 불쌍히 여기시니 이는 그들이 목자 없는 양과 같이 고생하며 기진함이라(When He saw the multitudes, He was moved with compassion for them, because they were weary and scattered, like sheep having no shepherd, NKJV).” (마태복음 9:36) 예수님의 눈에 비친 당시의 사람들은 피곤하고 지친 모습이었습니다. 마치 목자가 없는 양같이 보였습니다. 양에게는 목자가 있어야 하는데, 그들의 길을 인도하는 목자가 없으니까 그들은 흩어져 제 각기 살고 있었습니다. 그들을 푸른 초장으로 인도해 줄 목자가 없어서 사람들은 이리저리 방황하고 있었습니다. 마가는 그의 복음서에 “예수님께서 그런 사람들을 보시면서 측은한 마음이 들어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셨다(마가복음 6:34)”고 했습니다. 예수님은 정확하게 그 시대 사람들의 삶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그렇게 지치고 피곤한 삶을 사는 것은 하나님의 말씀을 올바로 가르쳐 줄 지도자들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것이 예수님의 관점입니다.
맞습니까? 피곤하고 지친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은 휴가나 여행이 아닙니다. 잠시 일을 쉬는 것이 도움은 될 수 있지만, 궁극적인 해결책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잠깐의 휴식이 끝나고 일상으로 돌아가면 다시 지치고 피곤한 삶이 반복됩니다. 바로 그것이 예수님께서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신 이유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들어야 사람들이 살아납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들어야 삶의 목적과 삶의 의미를 발견하게 됩니다. 내가 사는 목적이 무엇인지, 삶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고 사는 사람은 영혼이 살아납니다. 그런 사람들은 가난과 배고픔을 이길 수 있고, 고난(고생)도 이길 수 있습니다.
여러분, ‘로고테라피(logotherapy)’라는 말을 들어 보셨습니까? 빅터 프랭클(Viktor Frankl, 1905-1997)이라는 오스트리아의 신경 심리학자가 주창한 치료법입니다. 빅터 프랭클은 ‘홀로코스트(The Holocaust)’에서 살아남은 생존자입니다. 그는 그 때의 생존 경험을 살려 ‘Man’s Search For Meaning(1946, 한국어 번역 ‘죽음의 수용소에서’)’이라는 책을 썼습니다. 이 책에서 주장한 것이 ‘로고테라피’입니다. ‘로고데라피’는 ‘logos’라는 말과 ‘therapy(치료법)’라는 말의 합성어입니다. ‘logos’는 말, 의미 등으로 번역되는 말이지만, 신학(theology)에서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번역합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로고테라피’를 ‘의미요법”이라고 번역합니다.
빅터 프랭클이 이렇게 말했습니다. “Life is never made unbearable by circumstances, but only by lack of meaning and purpose(인간이 견딜 수 없게 되는 것은 환경에 의해서가 아니라 의미와 목적을 상실했을 때 그렇게 되는 것이다).” 빅터 프랭클의 말을 더 들어볼까요? “The meaning of life is to give life meaning(삶의 의미란 삶에 의미를 주는 것이다).” “For the meaning of life differs from man to man, from day to day, and from hour to hour. What matters, therefore, is not the meaning of life in general but rather the specific meaning of a person’s life at a given moment(삶의 의미란 사람마다, 날마다, 시시각각으로 달라지기 때문에 중요한 것은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삶의 의미가 아니라 주어진 순간에 한 개인이 느끼는 삶의 특별한 의미이다).”
우리의 삶의 무게가 힘에 버겁고 무겁게 느껴지는 것은 삶의 의미를 상실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이런 우리를 향해서 “내가 너희를 쉬게 할 것이다(I will give you rest)”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말씀을 단순히 문자적인 의미로 해석해서는 안 됩니다. 이 말씀은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휴가를 주신다는 말씀이 아닙니다. 29절에 다시 나오는 말씀을 보십시오. “그러면 너희 영혼이 쉼을 얻을 것이다(And you will find rest for your soul).” 이 말씀은 예수님께서 자기를 찾아오는 사람들에게 ‘refreshment(원기 회복)’를 주고, ‘renewal(새로워짐)’ 시켜주고, ‘blessed quiet(복된 평온함)’을 주고, ‘tranquility(평온함)’를 주고, 삶의 ‘satisfaction(만족)’을 주겠다는 뜻입니다.
그러면, 어떻게 하면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쉼’을 얻을 수 있을까요? 예수님은 “내 멍에를 메고 내게 배우라(Take my yoke upon you and learn from me, 29절)”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여기서 ‘멍에(yoke)’는 예수님의 ‘교훈(teachings)’을 의미합니다. 예전에 소에게 일을 시킬 때 소의 어깨에 ‘멍에’를 메웠습니다. 멍에를 메울 때 두 마리 소에게 같이 멍에를 메웠습니다. 멍에를 메면 두 마리 소는 어쩔 수 없이 서로 보조(步調)를 맞춰서 같이 움직여야 합니다. 예수님께서 “내 멍에를 메라”고 하신 것은 내 옆에서 나와 함께 지내면서 나에게 보조를 맞추라는 뜻입니다. 마가복음에 이런 말씀이 있는 것 아시지요? “예수께서는 열 둘을 뽑아 사도로 삼으시고 당신 곁에 있게 하셨습니다(Then he appointed twelve of them and called them his apostles. They were to accompany him).” (마가복음 3:14, 공동번역) ‘accompany’라는 말이 ‘go along with~(누구와 함께 가다)’라는 뜻이잖아요? 그러므로, ‘나의 멍에를 메고’라는 말씀은 “나와 함께 지내자”라는 뜻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예수님은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신 분입니다. 예수님과 나란히 걸으면서 온유하고 겸손하신 예수님의 인격을 접하고, 예수님의 말씀을 들으면서 예수님과 교제하고, 예수님에게 배웁니다. 그런데, 특별히 예수님께서 스스로를 가리켜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다”고 말씀하신 이유가 있을까요? 예수님께서 그렇게 말씀하신 이유는 예수님께서 자기 자신과 다른 랍비들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한번 이 말씀을 보세요. “율법학자들과 바리새파 사람들은 모세의 자리에 앉았다. 그러므로 너희는 그들이 말하는 것을 다 행하고 지켜라. 그러나 그들의 행동을 따라하지는 마라. 그들은 말만 하고 행하지는 않는다. 그들은 무거운 짐을 묶어 다른 사람들의 어깨에 올리지만 정작 자신들은 그 짐을 지기 위해 손가락 하나 움직이려고 하지 않는다.” (마태복음 23:2-4)
이것이 예수님의 눈에 비친 당시 유대 지도자들의 모습이었습니다. 이 지도자들은 사람들에게 본이 되기 보다는 오히려 사람들을 이용하려고 했습니다. 영어 표현에 ‘take advantage of~’라는 말이 있습니다. 저항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부당한 요구를 해서 이익을 취한다는 뜻입니다. 예수님 시대의 지도자들이 다 그런 식이었습니다. 그러나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신 예수님은 달랐습니다. 예수님의 말씀을 들은 사람들은 예수님의 교훈과 랍비들의 교훈이 다르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 말씀을 한번 보십시오. “안식일에 예수님께서 회당에 들어가셔서 가르치기 시작하셨습니다. 거기에 있는 사람들이 예수님의 가르침을 듣고 놀랐습니다. 그것은 율법학자들과는 달리, 예수님의 가르침에 권위(authority)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마가복음 1:21-22) 마가는 그의 복음서에 예수님의 가르침을 들은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이것은 처음 듣는 새 교훈이다(What is this? A new teaching with authority, 마가복음 1:27)” 하면서 깜짝 놀랐다고 기록했습니다.
예수님은 자기에게 온 사람들을 이용하지 않았습니다. 자기에게 온 사람들을 이용해서 ‘take advantage’ 하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에게서 뭔가를 얻으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그대신 예수님은 그에게 온 사람들에게 인간성을 회복하도록, ‘참 인간’이 되도록 도우려고 했습니다. 예수님께서 여리고의 세리장 삭개오에게 하신 말씀을 아시지요? “오늘 이 집에 구원이 찾아왔다. 이 사람도 아브라함의 자손이다. 나는 잃어버린 사람을 찾아 구원하러 왔다(For I came to seek and save those who are lost).” (누가복음 19:9-10) 예수님 안에서 삭개오는 그의 잃어버린 삶을 되찾았습니다. 예수님 안에서 삶의 목적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고, 예수님 안에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그가 예수님을 만나 삶의 의미를 발견했다는 증거는 이후 그의 행동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예수님을 만나기 전에는 많은 재산을 모으는 것이 행복이라고 생각했던 삭개오는 예수님을 만난 후 모든 것이 달라졌습니다. 삭개오는 예수님 안에서 재산을 축적하는 것보다 더 가치 있는 삶의 의미를 발견한 것입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만난다고 해서 우리의 삶의 조건이나 환경이 어떻게 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예수님을 만난 후에도 우리의 삶의 환경은 바뀌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달라진 것이 있다면, 예수님 안에서 삶의 의미를 발견한 것입니다. 빅터 프랭클의 ‘Logotherapy(의미요법)’가 주장하는 것이 바로 이것입니다. “우리의 삶의 환경이 우리를 견디지 못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삶의 의미를 상실하는 것이 우리를 견디지 못하게 만든다.”
우리는 모두 수고하고 무거운 짐을 진 사람들입니다. 문제는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 하고 말씀하시는 예수님께 응답하는 것입니다. 예수님께 가서 배우는 것입니다. 예수님과 교제하면서 온유하고 겸손하신 예수님의 인격을 배우는 것입니다. 예수님과 함께 ‘멍에’를 메고 그분과 함께 지내는 것입니다. 이사야는 “너희가 어찌하여 양식이 아닌 것을 위하여 돈을 쓰고 애를 쓰느냐?”고 했습니다. 우리가 다른 곳에서 삶의 의미를 찾지 않고 우리의 생명을 창조하신 하나님 안에서(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찾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예전에 들었던 찬양 가사가 생각납니다. ‘O Come, All You Unfaithful(믿음이 없는 사람들은 오세요)’라는 찬양입니다. “오세요. 믿음이 없는 사람들은요. 연약하고 불안한 사람들도 오세요. 와서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아세요. 오세요. 열매 없이 기다리는 사람들은요. 기도에 지친 사람들도 오세요. 와서 당신의 하나님이 하신 일을 보세요. 그리스도가 나셨어요. 그리스도가 나셨어요. 그리스도가 나셨어요. 당신을 위해.” 이런 가사의 찬양입니다. 한번 들어보세요. ‘O Come, All You Unfaithful(Korean subtitle)’ Link https://bit.ly/3QsSnka